여러분 안녕하세요.
띵깡입니다:)

건축기사는 건축분야에서는 설계도면을 보고 실제 건물을 짓는 일을 하고 건축물 시공과정 중 설계도서(도면) 내용대로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품질관리 및 공사감독을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건축기사라고 해요. 이들이 수행하는 업무는 크게 계획설계 실시설계 시공관리 감리업무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건축법 개정과 건설경기 회복과 맞물려 많은 인력수료가 예상되는 직종이에요!
건축기사 자격증이란?
건축기사 자격증이란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가산점 부여 등 우대받을 수 있고 학점은행제에서는 최대 16학점 인정되는 국가공인 기술자격증이에요.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인만큼 제대로 알고 준비해야겠죠?
응시자격 제한이 있어서 아무나 시험을 볼 수 없어요. 관련학과 4년제 졸업자이거나 실무경력 4년 이상이어야해요. 응시자격이 되지 않는다면 학점은행제를 통해서 106학점을 이수하면 돼요. 고졸인 경우 1년 반~2년이면 되고 전문대졸이라면 6개월~1년이면 돼요. 비전공자라면 2년~2년 반 정도 걸려요.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건축기사 자격증 시험에서는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두 자기 모두 합격해야 취득할 수 있어요.
필기시험은 과목은 1)건축계획 2) 건축시공 3) 건축구조 4) 건축설비 5) 건축관계법규 5과목으로 객관식 4지 택일형이고 과목당 20문항씩 출제돼요.
실기시험은 복합형(필답형 + 작업형)으로 실시되면 약 7시간 동안 진행돼요. 합격기준은 필기시험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이어야 하고 실기시험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해야 해요.
응시 수수료는 필기 19,400원 실기 22,600원이에요.
필기시험공부방법으로는 기출문제 풀이가 가장 좋아요. 과년도 문제들은 반복해서 풀어보면서 출제경향을 파악하면 좋은 결과 있으실 거예요. 필기는 과년도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면 돼요. 저 같은 경우엔 10개년치 문제집을 사서 풀었는데 한번 풀고 채점 후 틀린 문제들을 다시 풀어보고 해설집 보면서 이해했어요. 그러고 나서 다음회차 문제지를 구해서 똑같이 푸는 방식으로 공부했어요. 처음 보는 문제라도 일단 답을 체크해서 왜 틀렸는지 분석하면서 공부했고 나중에는 아예 모르는 문제나 헷갈리는 문제 빼고는 다 맞을 때까지 반복했어요.
실기시험은 인강을 들으면서 준비했는데 확실히 혼자 책 보고 독학하는 것보다는 훨씬 도움이 많이 됐어요. 강의 커리큘럼 따라서 진도 나가고 복습하다 보면 어느새 실력이 쌓여있는 걸 느낄 수 있었어요. 특히 도면 그리는 연습이랑 공정표 작성연습 꾸준히 해주는 게 좋아요. 시간 내에 완성하려면 손에 익어야 하거든요.
오늘은 건축기사자격증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더불어 주택 및 시설물등의 대형화 고층화 다양화되면서 전문인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건축기사 전망 또한 밝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도전하세요!
지금까지 띵깡이였어요. 감사합니다:)

'띵깡자격증공부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경험자가 알려주는 전기기사자격증 취득 방법 (0) | 2023.06.02 |
---|---|
사장님도 모르는 서비스경영자격SMAT에 대한 실제 성공사례 (0) | 2023.06.01 |
쉽게 알 수 없는 공인노무사의 성공전략 (0) | 2023.05.25 |
관계자도 모르는 유통관리사 숨겨진 이야기 (0) | 2023.05.25 |
안보면 후회하는 물류관리사에 관련된 1가지 성공과정 (0) | 2023.05.24 |
댓글